김광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04:34
본문
Download : 김광섭.hwp
이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둘기’가 무엇을 뜻하는지 파악해야 한다.
▶ 성격 : 문명 비판적(풍자적), 우의적(寓意的)
▶ 표현 : 묘사와 서술의 혼합. 비둘기의 의인화.
난해하지 않는 시어의 구사로 잃어져 가는 자연미에 대한 향수를 표현하고 있으나, 그 내용은 날카로운 비평적 안목으로 뒷받침되어 있따 또한 부드럽고 원숙한 표현이 돋보이는데, ‘새벽부터 돌 깨는 산울림에 떨다가/가슴에 금이 갔다’라든가 ‘하느님의 광장 같은 새파란 아침 하늘’, ‘금방 따낸 돌 온기에 입을 닦는다’ 등은 자잘한 언어적 기교의 시가 아님을 보여주는 뛰어난 표현들이다.성북동비둘기-김광섭 , 김광섭의약보건레포트 ,
다.
성북동비둘기-김광섭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60년대부터 처음 된 근대화, 산업화에 따르는 자연 파괴와 인간성 상실이라는 현실 인식이 이 시의 처음 동기(詩作動機)다. ‘비둘기’는 도시화, 산업화로 인하여 소외되어 가는 인간을 상징하고 있으며, 비판자적 구실을 한다.
▶ 어조 : 작품 곳곳에는 씁쓸한 어조와 더불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참다운 의미와 가치가 무엇인지 말해주고 있음
▶ 시대적 배경 : 1960년대
▶ 구성 : 1,2연 - 묘사 / 3연 - 서술
① 기(1연) : 삶의 터전을 상실한 비둘기→1960년대 성북동 지역의 택지 재개발 사 업으로 달동네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고 쫓겨난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따
② 서(2연) : 문명에 쫓기며 옛날을 그리는 초라한 신세가 된 비둘기
③ 결(3연) : 사랑과 평화를 잃고(낳지 못하고) 쫓기는 비둘기
▶ 제재 : 비둘기
▶ 주제 : ① 자연 파괴와 인간성 상실의 비판…(투비컨티뉴드 )
김광섭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김광섭.hwp( 82 )
김광섭, 성북동비둘기에 대한 글입니다.
김광섭, 성북동비둘기에 대한 글입니다.
성북동(서울) 산에 사는 비둘기는 도시 개발에 의해 삶의 터전을 상실한 성북동 사람이며, 나아가서는 산업화의 과정에서 인간성을 상실한 인간, 소외된 인간으로 그 의미를 확대해 볼 수 있따 이 작품은 주지적 시인으로 알려진 시인 이산(怡山)이 63세 되던 노경에, 그것도 고혈압으로 쓰러진 후 투병 생활 3년 만인 1968년에 지은 것으로 부드럽고 원숙한 표현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