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정러시아 시대의 민중종교 ― 분파교 : 러시아인은 정교도인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7 06:46
본문
Download : 제정러시아 시대의 민중종교 ― 분파교 러시아인은 정교도인인가.hwp
정부의 이교도에 대한 관대한 종교정책과 두호보르쯔이들의 근면과 내면적인 조화로운 삶의 결과로 이주지역에서의 삶의 터전을 마련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두호보르체스트보의 확산은 18세기 말 탐보프 주의 거부상인인 이라린 포비로힌(Иларин Побирохин)이 등장하면서부터였다. 두호보르체스트보라는 명칭은 암브로시 대주... , 제정러시아 시대의 민중종교 ― 분파교 : 러시아인은 정교도인인가?인문사회레포트 ,
이 분파의 발생시기는 대체로 18세기 후반으로 추정하고 있따 두호보르체스트보라는 명칭은 암브로시 대주...
3. 두호보르쯔이(Духоборцы)
이 분파의 발생시기는 대체로 18세기 후반으로 추정하고 있다아 두호보르체스트보라는 명칭은 암브로시 대주교가 예카제리나슬라브 주에 있는 이 분파의 추종자들에게 붙이면서 스타트되었다. 그는 자신을 가리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명명하고 세상을 심판할 권세를 위임하기 위해 12사도를 택하였다. 그의 열렬한 추종자로서는 퇴역장교 출신인 사벨리 카푸스틴으로서, 탐보프 주에서 이 분파의 교리를 전파하였다. 성령의 존재를 거부한다는 뜻에서 붙인 명칭이지만 두호보르쯔이들은 성령(Святой Дух)이 아니라 성상(икон)숭배를 거부한다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순서






제정러시아 시대의 민중종교 ― 분파교 : 러시아인은 정교도인인가?
레포트/인문사회
3. 두호보르쯔이(Духоборцы)
3. 두호보르쯔이(Духоборцы) 이 분파의 발생시기는 대체로 18세기 후반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니콜라이 1세의 등극과 더불어 이교도들에 대한 탄압이 스타트되면서 두호보르쯔이들은 비정교회분파 가운데 가장 악한 분파로 규정되었다. 두호보르체스트보의 설립자는 예카제리나슬랍 주의 니콜 마을 출신의 박식한 실루안 코레스니코프(Силуан Колесников)였다. 이들은 종교의 자유 시대라고 말할 수 있는 알렉산드르 1세 때 집단이주가 허용됨으로서 그들만의 공동체를 건설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타브리 주의 몰로치 강 유역의 스텝 지역으로 4천 명 가량이 이주하였다. 이는 그들이 “살인하지 말라”는 성경의 계명에 기초하여 군복무를 거부함으로써 정부에서는 국가의 권세에 불복종하는 분파로 간주했기 때문일것이다 1838년에는 정교회 사제들, 군수, 국가재산위원회 의장, 친위대 장교들로 구성된 비밀위원회가 만들어져 이곳…(생략(省略))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제정러시아 시대의 민중종교 ― 분파교 러시아인은 정교도인인가.hwp( 17 )
설명
다. 그는 큰 키와 화려한 언변과 성경에 대한 깊은 조예로 하리콥, 예카제리나슬라브, 탐보프, 보로네쥐, 사라톱, 아스트라한, 페젠 주들과 돈 강의 카프카즈인들과 시베리아 등에서 교세를 확장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