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세사] 고려시대의 불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23:49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의불교.hwp
화엄종이 불교를 주도하는 상황을 반영해서인지, 신라 이래의 정통적 선종보다는 오히려 화엄학과 선을 융합한 법안종이 들어와 왕실의 지원 아래 한때 활약하였다. 이러한 중심이동은 화엄종 남·북악파를 통합한 균여와 그를 지원한 광종에 의해 행하여졌다. 화엄종의 본산은 신라 때의 영주 부석사와 구례 화엄사에서 수도 개경의 귀법사로 옮겨졌다. [참고자료] 정의행, 《한국불교통사》, 한마당, 1991. 금서룡(今西龍). <고려 보각국존 일연에 대하여> (일문). <<예문>> 7. 경도: 경도제국대학 경도문학회, 1918. 김영수. <조계선종에 취하여 - 오교 양종의 일파 조선불교의 근원 ->. <<진단학보>> 9. 서울: 진단학회, 1938. 금서룡(今西龍). <신라승 도선에 대하여> (일문). <<고려사연구>>. 동경: 근택서점, 1944. 금서룡(今西龍). <고려 보각국존 일연에 대하여> (일문). <<예문>> 7. 경도: 경도제국대학 경도문학회, 1918.:<<고려사연구>>. 동경: 근택서점, 1944. 고교형(高橋亨). <대각국사 의천의 고려 불교에 대한 경론에 대하여> (일문). <<조선학보>> 10. 천리: 조선학회, 1956. 박영수. <고려`대장경`판의 연구>. <<백성욱박사 송수기념 불교학논문집>>. 서울, 1959. 양재연. <균여대사연구>. <<논문집>> 4. 서울: 중앙대학교, 1959. 유교성. <고려 사원경제의 성격>. <<백성욱박사 송수기념 불교학회논문집>>. 서울, 1959. 조명기. <대각국사의 천태의 사상과 속장의 업적>. <<백성욱박사 송수기념 불교학논문집>>. 서울, 1959. 안계현. <여원관계에서 본 고려불교>. <<황의돈선생 고희기념 사학논총>>. 서울, 1960. 등등





(1) 왕실불교세력과 무신정권의 갈등
(1) 왕실귀족불교의 타락
(2) 선종과 천태종의 왕권과의 결탁
금서룡(今西龍). <신라승 도선에 대하여> (일문). <<고려사연구>>. 동경: 근택서점, 1944.
8. 신진사대부 세력의 불교 비판
다. 문종의 왕자로서 열한 살의 어린 나이에 승려가 된 의천(義天: 1055∼1101)은 왕권의 그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최적격자였다. 화엄종은 신라 의사의 화엄종을 계승하여, 고려 역대 왕권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귀족불교로서 발전하였다.
등등
(3) 일연(一然)의 민족의식■역사(歷史)의식
조명기. <대각국사의 천태의 사상과 속장의 업적>. <<백성욱박사 송수기념 불교학논문집>>. 서울, 1959.
이상과 같은 교종·선종 각파가 서로 대립하며 분열되어 있는 상황에서 왕권은 각 종파불교의 융화와 통일적 지배이념을 요구하게 되었다. 현종이 세운 현화사는 법상종의 본산이었다. 법안종은 광종이 중국(中國)에 보낸 36명의 유학승들에 의해 전해졌는데, 당시까지도 아직 지방에 할거하던 호족세력의 이념적 토대인 9산 선종을 견제하기 위한 광종의 정치적 의도가 반영되었던 것 같다.
양재연. <균여대사연구>. <<논문집>> 4. 서울: 중앙대학교, 1959.
Download : 고려시대의불교.hwp( 93 )
(2) 지방 승려들의 민중봉기 참가
6. 공민왕 때의 불교와 개혁정치
불교, 천태종, 선종, 민중불교
설명
5. 원(몽고)지배하의 불교와 사회
금서룡(今西龍). <고려 보각국존 일연에 대하여> (일문). <<예문>> 7. 경도: 경도제국대학 경도문학회, 1918.:<<고려사연구>>. 동경: 근택서점, 1944.
(4) 백련사 무기(無寄)의 민중의식
안계현. <여원관계에서 본 고려불교>. <<황의돈선생 고희기념 사학논총>>. 서울, 1960.
(2) 의천의 불교통합 노력과 천태종 개창
[한국중세사] 고려시대의 불교
고교형(高橋亨). <대각국사 의천의 고려 불교에 대한 경론에 대하여> (일문). <<조선학보>> 10. 천리: 조선학회, 1956.
4. 몽고의 침략과 귀족불교
11세기 고려불교는 여러 종파가 서로 대립하며 제각기 발전하고 있었다. (3) 결사(結社)운동-수선사와 백련사
11세기 중반까지 고려 왕권에 의한 중앙집권화가 완성됨에 따라, 9산 선종도 서서히 왕권에 접근하기 처음 했다. 왕실의 외척 인주 이씨의 막강한 권력을 등에 업고 왕권과 밀착하며 발전하였다. 그후 화엄종은 많은 왕사·국사를 배출하며 왕권의 요구에 부응하였다. 선종에서도 교종처럼 대사·왕사·국사 따위를 배출할 수 있는 길을 튼 것이다. 그리고 고려시대 불교와 관련한 참고문헌을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고려시대 불교와 관련한 reference을 정리하였습니다.
(2) 의천의 불교통합 노력과 천태종 개창
한국불교통사에 있는 고려시대 불교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법상종은 유가종이라고도 하는데, 대현(大賢)등의 신라 유가종을 계승하였다. 1084년, 정쌍(貞雙)을 비롯한 선종의 승려들은 3년에 한번씩 9산문에서 참선하는 승려들 가운데서 선종 지도자들을 선발할 것을 왕에게 청원하였다.
금서룡(今西龍). <고려 보각국존 일연에 대하여> (일문). <<예문>> 7. 경도: 경도제국대학 경도문학회, 1918.
순서
1. 천태종 개창과 불교학의 종합
1. 천태종 개창과 불교학의 종합
7. 고려의 미륵신앙운동
(1) 불교 각 종파의 분열과 대립
유교성. <고려 사원경제의 성격>. <<백성욱박사 송수기념 불교학회논문집>>. 서울, 1959.
한국불교통사에 있는 고려시대 불교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법상종도 화엄종처럼 많은 국사·왕사를 배출하였다. [참고자료(資料)] 定義(정의)행, 《한국불교통사》, 한마당, 1991.
3. 무신정권 아래서의 불교
박영수. <고려`대장경`판의 연구>. <<백성욱박사 송수기념 불교학논문집>>. 서울, 1959.
2. 호국불교와 풍수도참사상
김영수. <조계선종에 취하여 - 오교 양종의 일파 조선불교의 근원 ->. <<진단학보>> 9. 서울: 진단학회, 1938.
(1) 불교 각 종파의 분열과 대립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화엄종과 법상종이 왕권과 결탁하여 위세를 떨치던 이 시기에 선종은 9산 선문으로 분열된 채 그다지 빛을 보지 못하였다. 정치적 소외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