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ge][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7:19
본문
Download :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hwp
설명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1648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8%B0%EC%97%85%EA%B2%BD%EC%98%81%EB%A1%A0%5D%20%EB%AF%B8%EA%B5%AD%EA%B3%BC%20%EC%BA%90%EB%82%98%EB%8B%A4%EC%9D%98%20%EC%9E%90%EB%8F%99%EC%B0%A8%EB%85%B8%EC%A1%B0-1648_01.gif)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1648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8%B0%EC%97%85%EA%B2%BD%EC%98%81%EB%A1%A0%5D%20%EB%AF%B8%EA%B5%AD%EA%B3%BC%20%EC%BA%90%EB%82%98%EB%8B%A4%EC%9D%98%20%EC%9E%90%EB%8F%99%EC%B0%A8%EB%85%B8%EC%A1%B0-1648_02_.gif)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1648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8%B0%EC%97%85%EA%B2%BD%EC%98%81%EB%A1%A0%5D%20%EB%AF%B8%EA%B5%AD%EA%B3%BC%20%EC%BA%90%EB%82%98%EB%8B%A4%EC%9D%98%20%EC%9E%90%EB%8F%99%EC%B0%A8%EB%85%B8%EC%A1%B0-1648_03_.gif)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1648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8%B0%EC%97%85%EA%B2%BD%EC%98%81%EB%A1%A0%5D%20%EB%AF%B8%EA%B5%AD%EA%B3%BC%20%EC%BA%90%EB%82%98%EB%8B%A4%EC%9D%98%20%EC%9E%90%EB%8F%99%EC%B0%A8%EB%85%B8%EC%A1%B0-1648_04_.gif)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1648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8%B0%EC%97%85%EA%B2%BD%EC%98%81%EB%A1%A0%5D%20%EB%AF%B8%EA%B5%AD%EA%B3%BC%20%EC%BA%90%EB%82%98%EB%8B%A4%EC%9D%98%20%EC%9E%90%EB%8F%99%EC%B0%A8%EB%85%B8%EC%A1%B0-1648_05_.gif)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
린생산체제의 influence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들은 이것이 대량생산과 장人生산을 조립라인에 의존하는 기술과 유연하게 결합시켜 포디즘을 넘어선 ‘포스트 포디즘’(Post-Fordism)적 생산 체제의 성립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 세계의 모든 생산자들이 시급히 수용해야만 하는 보편적 모델로 보았다(Kenney and Florida, 1993; Adler, 1995; Womack and Jones, 1990). 반면 일부에서는 린생산체제는 본질적으로 대량생산체제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의미에서 ‘네오 포디즘’(Neo-Fordism)론을 제기하였다(Jürgens, Malsch, and Dohse, 1994). 또한 일부에서는 생산제체와 노사관계의 재편 과정에서 포스트 포디즘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포디즘 체제의 단점을 극복하고 조직노동의 核心적 역할을 보존하는 전략(strategy)이 제안되기도 하였다(Streeck, 1985, 1992; Turner, 1991; Bluestone and Bluestone 1992).
다. 전지구적 차원의 산업구조 변동과 자동차 생산의 국제화, 포디즘적 생산 체제의 위기와 근본적 재구조화, 그리고 Japan식 생산체제를 원형으로 하는 ‘린생산체제’(lean production system)의 도전은 북미지역 자동차산업의 노사관계에도 엄청난 influence을 미쳤던 것이다. 생산 과정에서 재고의 최소화, 지속적 改善, 다기능화, 생산현장 중심의 노동자 참여, 신중한 채용, 核心 노동력의 고용 안정, 밀도 높은 노동자 사회화 등을 특징으로 하는 린생산적 노사관계는 북미지역의 포디즘적 노사관계에 근본적인 변화의 압력으로 작용했던 것이다(Womack and Jones, 1990; Kenney and Florida, 1993). 급격한 산업합리화와 린생산체제의 도전은 그 influence에 대한 평가와 이에 대한 노조의 대응을 둘러싸고 노동조합 내부 뿐 아니라 연구자들간에도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
Download : [기업경영론]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hwp( 27 )
I. 문제의 제기
1980년대 이후 북미지역의 자동차산업은 생산 현장을 중심으로 커다란 산업 재구조화를 경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