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군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17:22
본문
Download : 사군자.hwp
그러나 대나무는 수묵법과 결부됨으로써 비로소 동양회화의 중심적 창작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기운과 정신의 주관적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문동은 `호주죽파`를 형성하여 묵죽화의 성행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때 벌써 이(李)에 의해 [죽보] 7권이 만들어져 화법이 체계적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그는 죽의 생리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묵죽화가로서 유명하였다.
남송 때에 이르러 묵죽은 더욱 유행하였고 원대에는 문인사대부들의 저항과 실의의 표현방편으로 성황을 이루기도 하였다.
죽을 그리는 데 묵죽을 기본으로 삼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나 묵죽 이전에 사죽과 채색죽의 방법이 이미 있었음을 기록을 통해 엿볼 수 있따 사죽은 사생에 의한 대나무의 묘사방법이고 채색죽은 윤곽을 선묘로 두르고 안에 칠을 하는, 이른바 채의 방법에 의한 것이다. 묵이란 선으로서 작용할 뿐 아니라 색채를 대신한 면으로서도 작용한다. 문동이나 소동파에 의해 처음 시도된 묵죽은 바로 대상물의 외형적 사생을 떠난 전신의 실천적 방법으로 죽을 그린 것이 되며, 이 때의 묵은 현상세계 너머의 조화력을 …(To be continued )
사군자에 대한 글입니다.
대나무가 그림의 소재로 등장한 것은 삼국시대부터였으나 수묵화의 기법과 밀착되어 문인사대부들의 화목으로 발달시킨 사람은 북송의 소동파와 문동이었다.사군자 , 사군자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사군자






대나무는 옛부터 문인사대부들의 가장 많은 애호를 받으면서 사군자의 으뜸으로 꼽혀 온 것이다. 그것은 대나무의 변함없는 청절한 자태와 그 정취를 지조있는 선비의 묵객들이 사랑했기 때문일 것이다.
원대에는 이 밖에도 조맹부, 오진, 찬 등의 명가들이 나와 가늘면서 굳센 묵죽화풍을 형성했으며, 이러한 전통이 명대의 하 (1388~1470)등을 통해 자연미와 이념미가 융합되면서 청대로 계승되었다.
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사군자.hwp( 45 )
사군자
순서
사군자에 대한 글입니다. 소동파는 특히 그리고자 하는 대나무의 본성을 작가의 직관력으로 체득하여 나타낼 것을 주장한 `중성죽론` 을 제창하기도 하였다. 늘 푸르고 곧고 강인한 줄기를 가진 이러한 대나무는 그래서 충신열사와 열녀의 절개에 비유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