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20:10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 관계.hwp
- 감시비판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양 기관 사이에서 갈등이 빈번히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지방의회의 기능에 대한 법률상의 범위와 한계를 명확하게 입법화해야 한다.
-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 사이의 효율적인 견제관계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 기관에 균등한 권한배분이 확보되어야 하고, 양 기관간에 권한의 한계가 분명하여야 한다.
순서
Download : [사회과학] 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 관계.hwp( 23 )
[사회과학] 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 관계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 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 관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주민의 직접참정제도의 도입
3) 운영의 문제와 그 …(省略)
[사회과학] 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 관계
사회과학,집행기관과,지방의회,관계,인문사회,레포트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중앙政府(정부)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행정적 통제, 즉 지도감독을 최소화해야 한다. , [사회과학] 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 관계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집행기관과 지방의회 관계
![[사회과학]%20집행기관과%20지방의회의%20관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A7%91%ED%96%89%EA%B8%B0%EA%B4%80%EA%B3%BC%20%EC%A7%80%EB%B0%A9%EC%9D%98%ED%9A%8C%EC%9D%98%20%EA%B4%80%EA%B3%84_hwp_01.gif)
![[사회과학]%20집행기관과%20지방의회의%20관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A7%91%ED%96%89%EA%B8%B0%EA%B4%80%EA%B3%BC%20%EC%A7%80%EB%B0%A9%EC%9D%98%ED%9A%8C%EC%9D%98%20%EA%B4%80%EA%B3%84_hwp_02.gif)
다.
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 관계
1)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간의 통제관계
(1) 집행기관에 대한 의회의 통제권
- 행정사무 감사 및 조사권
- 예산심의 및 의결권
- 회의 출석과 답변요구권
- 조례제정권 및 의결권
- 자치단체장이 확정된 조례를 공포하지 않을 경우 의장의 조례공포권
(2) 의회에 대한 집행기관의 통제권
- 재의요구권
- 선결처분권
- 재의결된 안건에 대한 제소권
- 예산안 편성 및 제출권
- 의회소집 요구권
- 조례 및 의안 제출권
2)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간의 갈등양태
(1) 집행기관이 지방의회에 대하여 불만을 느끼는 사항
- 각종 자료(data)의 과다 요구 및 비formula 요청
- 의사진행시 의제외 질문이나 중복질문
- 질문시 집행부직원에 대한 질타식 언행
- 예산심의시 지역이기주의 표출
- 지방의원의 권위주의
- 의결권의 지연행사와 과다행사
(2) 지방의회가 집행기관에 대하여 불만을 느끼는 사항
- 의회가 요청한 자료(data)의 부실제출과 지연
- 의원에 대한 경시 또는 예우소홀
- 민원에 대한 무사안일, 복지부동
(3)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과의 바람직한 관계정립대안
① 제도적인 문제와 改善(개선) 대안
- 중앙政府(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역할에 대한 구분을 명확히 하고 지방분권의 원칙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을 확대 강화한다.